@media only screen and (max-width:640px) {.stb-container {}.stb-left-cell,.stb-right-cell {max-width: 100% !important;width: 100% !important;box-sizing: border-box;}.stb-image-box td {text-align: center;}.stb-image-box td img {width: 100%;}.stb-block {width: 100%!important;}table.stb-cell {width: 100%!important;}.stb-cell td,.stb-left-cell td,.stb-right-cell td {width: 100%!important;}img.stb-justify {width: 100%!important;}}.stb-left-cell p,.stb-right-cell p {margin: 0!important;}.stb-container table.munged {width: 100% !important; table-layout: auto !important; } .stb-container td.munged {width: 100% !important; white-space: normal !important;} (사)제주생태관광협회 2024. 11. 뉴스레터안녕하세요. 회원님.어느덧, 올해도 한달여밖에 남지않았습니다.한해 열심히 살아온 자신을 칭찬하고 고마운 분들께 인사를 나누며 흐뭇하게 마무리하는 12월이 되시길바랍니다. (사)제주생태관광협회 11월 소식을 전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생태관광지원센터 운영]제주다운 생태관광프로그램 시범운영 (11/22~23) 2024 제주다운 생태관광프로그램 시범운영 은 탐조를 주제로 운영하였습니다. 참가자들은 '조수웅덩이' 다큐멘터리 관람, 동백동산 곶자왈 탐방, 오조리갯벌 생태탐방과 탐조대회 참가로 제주의 자연 보전과 생태관광를 이해하는 여행을 경험하였습니다.2024 생태관광 포럼 참석 (11/29~30) 전북 남원백두대간생태교육장에서 '2024 생태관광 포럼'을 개최하여 센터가 참여했습니다. 환경부, 한국생태관광협회, 생태관광지역 및 유관기관 담당자 등이 참여하여 생태관광 발전방향과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논의를 하였습니다. [제주시 람사르 습지도시 인증프로그램 지원사업]습지투어버스 운영 (11/15, 11/22)11월 15과 22일 제주수눌음지역자활센터에서 동백동산을 방문했습니다.습지 탐방과 교육프로그램 체험, 도토리칼국수 만들기를 하며 습지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을 가졌습니다.동백동산 생태 모니터링 (11/6)11월 동백동산 생태 모니터링은 먼물깍과 홍우판물 등에서 물방개, 큰알락물방개, 장구애비, 황줄왕잠자리유충 등을 관찰하였습니다. 습지블로그 다시, 제주습지매주 수요일 습지글이 포스팅되고 있습니다. 습지 블로그는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모습의 제주 습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합니다.11월에 습지블로그에 포스팅 된 습지글을 소개합니다.- 11/09 <김수장군못(진수못)>-변재환- 11/13 <1960년대까지 먹던 습지 소길리 좌랑못과 1966년도 보급된 공동수도물통>-박젬마- 11/20 <제주 서쪽 애월읍 곽지리 곽금8경 유지부압 버들못 습지>-김민서- 11/27 <버스정류장옆 못동산물>- 이주형- 11/29 <수산리2849 습지-넓은 초지 위의 이름 없는 습지>-오은주바로가기 [2024 해양보호구역 인식증진 교육 및 홍보사업]생태관광 프로그램 기획 운영(11/09)생태관광 프로그램 기획 운영은 10월에 이어 2차로 진행하였습니다. 마을해설사의 안내로 오조리마을과 연안 갯벌을 탐방하고, 오후에는 김완병 새 전문가와 함께 오조리 갯벌에서 하도 철새도래지까지 새를 관찰했습니다. 해양보호구역 생태모니터링 4차(11/23)4차 오조리 생태모니터링은 홍기홍 강사와 마을 모니터링단이 함께 탐조대회에 참가하여 새를 관찰했습니다. 오조리 연안 습지는 먹이가 풍부하여 많은 새를 볼 수 있었습니다. 이날 모니터링단은 28종의 새를 관찰하며 모니터링 활동을 마쳤습니다.해양보호구역(연안습지보호지역) 주민역량강화 교육(11/23)2차 해양보호구역(연안습지보호지역) 주민역량강화 교육은 오조리 탐조대회와 연계하여 지역주민 및 탐조대회 참가자를 대상으로 여상경 강사의 '제주도 새 이야기'를 주제로 교육하였습니다. [2024 과학해설사 양성 지원사업]제주바당한바퀴 참가자 모집(~12월)바다 생태 해설사와 제주 바다 곳곳을 탐험하는 '제주바당 한바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회차마다 다른 장소에서 이뤄지며 바다 생물과 겨울철새를 관찰합니다.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 신청하기버튼을 눌러주세요.신청하기 [타 기관·단체 요청 강의 및 프로그램 진행]강의) 2024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청년포럼 완도군에서 11일부터 14일까지 '2024 유네스코 생물관보전지역 청년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포럼을 통해 청년들의 생물권 보전지역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행사로 김유진 국장이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 활동 사례를 발표하였습니다.강의) 제주과학문화 투어 강사 양성 교육 11월 26일부터 12월 2일 까지 진행하는 '제주과학문화 투어 강사 양성 교육'에 고제량 협회장과 김유진 국장이 '제주 자연생태 가치와 생태관광 가능성', '생태관광 정의와 목표'를 주제로 강의하였습니다. [네트워크 활동 등]한국의 갯벌 세계자연유산 지역주민 제주 방문(11/05~11/07)한국의 갯벌 세계자연유산 지역주민들이 제주를 방문하여 거문오름, 동백동산, 돌문화공원, 유네스코 다중국제보호지역 글로벌 교육센터를 방문하고, 해녀의 노래 문화공연을 관람하였습니다.호근동! 환경부 '생태관광지역' 지정 확정제주생태관광협회가 6년 동안 컨설팅을 한 호근동이 환경부 생태관광지 지정이 확정되었습니다. 18일 발표 심사에 고제량 협회장이 응원차 방문을 하였습니다. 환경부 생태관광지 지정을 다시 한번 축하합니다!생태계서비스지불제 신규지 현장 답사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생태자원 보전를 위해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정책을 하고 있습니다. 덕천리와 오조리 등에 고제량 협회장이 현장 답사를 다니며 컨설팅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생물권보전지역 홍보 (11/20~11/23)서울국제식품산업전에서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 브랜드 활용 상품과 생태관광마을 홍보관을 운영하였습니다. (사)제주생태관광협회jeju.ecotourism@gmail.com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북촌4길 54-5 / 064-782-3253 / 064-782-3263수신거부 Unsubscribe